반응형

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버전 관리 도구, Git과 GitHub!
처음 접하면 어렵게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몇 가지 핵심 흐름만 익히면 충분합니다.
이 글에서는 입문자가 가장 자주 쓰는 Git & GitHub 워크플로우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1. Git과 GitHub 차이부터 이해하자

  • Git: 로컬(내 컴퓨터)에서 버전 관리를 하는 도구
  • GitHub: Git 저장소를 온라인에 저장하고 협업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플랫폼

Git은 저장소를 만드는 도구이고, GitHub는 그 저장소를 공유하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2. 깃 기본 명령어 익히기

git init        # 새 Git 저장소 생성
git add .       # 모든 변경 파일 스테이지에 올리기
git commit -m "메시지"  # 커밋 저장
git status      # 변경사항 확인
git log         # 커밋 히스토리 보기

Tip: 커밋 메시지는 한 줄 요약처럼! 예: feat: 로그인 기능 추가

 


🌐 3. GitHub 저장소 연결하기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내계정/저장소이름.git
git push -u origin main

remote add는 로컬 Git과 GitHub 저장소를 연결하는 명령어입니다.
처음 한 번만 해주고, 이후에는 git push로 푸시만 하면 됩니다.

 


🔁 4. 실전 워크플로우 순서

  1. 작업 시작 전: git pull로 최신 코드 받기
  2. 작업 후: git addgit commit
  3. 변경사항 올리기: git push
  4. 협업 시: GitHub에서 PR(Pull Request) 만들기

💬 Pull Request는 "내가 수정한 내용 봐줘!"라고 요청하는 과정입니다.
팀 개발에선 PR 리뷰를 통해 코드 품질을 관리해요.

 


🧠 5. 자주 하는 실수 & 팁

  • commit만 하고 push를 안 하는 경우 많아요!
  • ❌ GitHub에 올리려면 꼭 remote 설정이 필요해요
  • .gitignore로 불필요한 파일은 올리지 않기
  • ✅ GitHub에서 README.md로 프로젝트 소개 추가하면 보기 좋아요

 


🎁 실전 예제 저장소

👉 예제 GitHub 저장소 보러가기
입문용으로 Hello-World 저장소를 클론해 보고 직접 커밋해보세요!

 


✅ 마무리

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Git과 GitHub는 개발자의 필수 도구입니다.
오늘 소개한 워크플로우만 익히면 누구나 깔끔한 버전 관리를 할 수 있어요.

반응형
반응형

최근 개인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

버전을 잘 관리하려고 해서 main 이라는 브런치는 만들었다.(실제로 branch를 통해서 프로젝트를 관리해본 적은 없었기에..)

근데 다음날 git commit 을 하려고 하니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이거보면 현재 main 브런치가 최신이라는 거 같은데

 

보니까 지난번에 react에 대한 부분이 빠져있었다.

 

Branch 문제가 아니었다.

 

왜 코드를 올리지 못했을까?

 

일단 파일이 있었기 때문에 다시 저장소 파서 새로운 폴더에서 관리하는 걸로 대응했다.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알고리즘을 공부하는 개발자 Henry Joo입니다~~~~!><

오늘은 제가 AWS 기초 예제인 인스턴스(EC2) 만들기를 알려드릴께요~~~

 

먼저 AWS란? 간단하게 말해서 아마존에서 제공해주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입니다.

AWS(Amazon Web Service)란, 실제 미국, 서울, 캐나다, 유럽 등등 각지에 아마존의 데이터센터의 자원을

일정한 수준의 돈을 주고, 빌려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제 친구가 여기서 인턴을 하고 있는데,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해요!ㅜ

그 친구는 요즘에 딥러닝 엑셀레이터(?)랑, 컴파일러 공부하고 있다는데, 참 많이 배울 수 있는 친구입니다~~ㅎㅎ

 

AWS에 대해서 더 자세한 것은 위키백과를 첨부해드릴께요~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A7%88%EC%A1%B4_%EC%9B%B9_%EC%84%9C%EB%B9%84%EC%8A%A4

 

아마존 웹 서비스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아마존 웹 서비스(영어: Amazon Web Services; AWS)는 아마존닷컴의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부다. 아마존 웹 서비스는 다른 웹 사이트나

ko.wikipedia.org

 

 

 

인스턴스란? AWS에서 빌려주는 일정 컴퓨팅 자원을 의미합니다. (리눅스, 윈도우 서버, 다양합니다.)

 

저희는 이번에 인스턴스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1. 먼저, 구글에다가 AWS라고 검색하세요.

 

 

2.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이라는 사이트에 들어갑니다.

3. 우측 상단에 주황색 버튼 "콘솔에 로그인" 이라는 것을 들어가주세요.

 

 

4. "AWS 계정 새로 만들기" 버튼 클릭하여 회원가입을 해줍니다.

 

5. 계정 정보를 입력합니다.

 

6. 연락처 정보를 입력합니다

 

7. 여기가 매우 중요합니다! 카드정보 입력

(해외에서 사용 가능한 Master 카드 혹은 Visa 카드 를 입력해주셔야 합니다!! - 이것때문에 잘 안되는 분들 몇분 계십니다)

나중에 만약 서비스를 사용할때, 자동으로 돈이 빠져나갈 카드여야합니다.(1000원? 정도는 들어있어야겠죠?)

 

.

 

8. 자격증명 확인

자기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고, 내선번호는 비워놓으시면 됩니다

 

9. 휴대폰으로 전화가 옵니다!

그러면 PC 화면에 있는 숫자 입력하면 됩니다

 

10. 휴대폰에서 숫자 입력하시고 나서, PC 화면이 아래와 같이 바뀌면, "계속" 버튼을 눌러주세요

 

11. 일단 무료버전을 사용하는게 좋겠죠?? 기본플랜(무료) 로 눌러주세요~!

 

12. 회원가입 완료되었습니다!!

"콘솔에 로그인"을 눌러주세요~~~

 

 

13. 이제 방금 전에 만드셨던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시면 됩니다.

 

14. 위의 "서비스" 라는 탭을 눌러서

 

14-1. AWS가 팔고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있지만, "EC2"에 들어갑니다.

EC2 란, AWS에서 팔고 있는 컴퓨팅 자원을 의미합니다.(가상 컴퓨터 느낌??)

 

15. 실행중인 인스턴스 를 클릭하고,

 

16. 인스턴스 시작 버튼을 눌러줍니다.

17. 이제부터 빌려쓰고 싶은 컴퓨터의 종류를 다양하게 나열해주는데,

저는 리눅스(우분투 18버전)을 사용하겠습니다~~  -> "선택" 버튼 클릭!

 

저기 "프리 티어 사용 가능" 이라고 아이콘 아래에 쓰여져 있는 부분만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컴퓨팅 자원들입니다.

다른 거 쓰시면, 돈내셔야 되용.ㅜㅜㅜ

물론 목적에 따라서 필요하시면 돈 내고 서비스 이용하시면 됩니다~~~ㅎㅎ

 

18. 빌리는 컴퓨터의 성능(cpu, 메로리 이런거)은 어떻게 할꺼냐, 선택할 수 있는데, 

그냥 프리티어 사용할꺼니가, 우측 하단에 "검토 및 시작!!" 클릭

19. 어떤 컴퓨터가 만들어질지 한번 검토해보세요~~ 그리고 --> 우측 하단에 "시작" 버튼 클릭(이제 진짜 빌려짐)

 

20. 빌린 컴퓨터에 나만 접속하기 위해서 열쇠(?)가 필요한데, 그것을 AWS에서는 "키 페어" 라고 부릅니다.

새 키 페어 생성 -> 이름 만들고 -> 키 페어 다운로드 클릭 하면 다운로드 됩니다! -> "인스턴스 시작" 버튼 클릭!

 

21. 인스터스 시작중~(빌리는 중이라는 의미입니다!) -> 우측 하단에 "인스터스 보기" 클릭

22. 짜잔! 인스턴스가 하나 생겼네요~~ -> 연결 클릭!

혹시 인스터스 상태가 노란색(Pending) 이신분들은 2분정도 기다려주세요~ 아직 컴퓨팅 자원 빌리는 중입니다!

 

23. 맨 아래 "ssh -i 뭐시기" 있는 부분 보이시나요? 그 부분을 복사합니다

예) ssh -i "henry_test.pem" ubuntu@ec2-54-180-93-151.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복사!

 

그리고 여기서 중요합니다!!

 

24. Mac이신 분들은 Command + Space 눌러서 Terminal을 실행시킵니다.

(윈도우이신 분들은 제가 맨 아래 부분에 언급한, Git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시면 terminal과 동일하게 사용가능합니다.)

그리고 아까 키페어가 위치해 있는 폴더로 들어가주시면 됩니다.

 

ls - 현재 위치의 폴더나 파일을 본다.

ls

cd 폴더이름 - 폴더로 들어간다.

ex) 위에 데스크탑 있는거 보이시죠?

그러면 현재 위치에 Desktop이라는 폴더가 있는거니까, 들어갈 수 있습니다.

cd Desktop

 

이렇게 키페어가 있는 곳 까지 갑니다.(아래 보이시죠?)

 

그리고 아까 복사했던 앞에 sudo + ssh-i 뭐시기를 커맨드 창에 입력합니다.

ex) sudo ssh -i "henry_test.pem" ubuntu@ec2-54-180-93-151.ap-northeast-2.compute.amazonaws.com

그러면 비밀번호를 물어보는데, mac 로그인 할때, 쓰는 비밀번호 입력합니다.

 

그리고 yes or no 물어보면 "yes" 입력해주고 엔터!

 

25. 그러면 드디어 성공!! AWS에서 무료로 제공해주는 우분투에 원격 접속을 하였습니다~~~! oh yeah~!!ㅎㅎ

 

혹시 윈도우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터미널이 따로 없으니, git 이라는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터미널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직접 링크로 남겨드릴께요

https://git-scm.com/

 

Git

 

git-scm.com

 

여기 들어가셔서 윈도우용 git 파일을 설치하면

 

"Git bash" 라는 프로그램이 깔리는데 그것을 Mac의 터미널 대용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ㅎㅎㅎ

 

그럼 오늘은 이렇게 원격으로 AWS 인스턴스 접속하기 예제에 대해서 배워보았습니다!!ㅎㅎ

 

감사합니다~!

 

 

 

다들 화이팅~~~~~!! 오예~~><

 

 

PS. AWS 인스턴스를 만드시고, 사용하지 않으실때는 반드시, 인스턴스를 삭제해주세요(우클릭하면 인스턴스 종료가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 중지 - 잡깐 쉬는거(데이터 보존됨, 다시 사용할 수 있음)

인스턴스 종료 - 아예 삭제하는거(데이터 날라감, 다시 사용 불가능)

 

예제로 만들어 보셨다면 인스턴스 종료를 눌러주셔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소량이지만 돈이 빠져나가요!! 주의!

 

 

 

 

https://www.youtube.com/channel/UCYYao-BSPaetw7N2GFFJ-Yw?view_as=subscriber

 

Henry Joo

 

www.youtube.com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려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