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최근 프론트엔드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T3 Stack”이라는 말이 자주 보입니다.
T3는 Turborepo + TypeScript + Tailwind를 중심으로 구성된 실전형 프레임워크 스택입니다.
단순한 유행일까요? 아니면 진짜 쓸만한 조합일까요?

 


🔍 T3 Stack이란?

T3 Stack은 Vercel 소속 개발자 Theo가 만든 웹앱 개발 스택으로, 다음을 포함합니다:

  • Turborepo – 모노레포 관리 툴
  • TypeScript – 타입 안정성을 위한 언어
  • Tailwind CSS – 빠르고 일관된 UI 구현
  • Next.js – SSR 지원하는 React 프레임워크
  • Prisma, tRPC, Zod – DB, API, 유효성 검사까지 풀스택 대응

 


🚀 왜 개발자들이 주목하나?

  • 🔧 모노레포 환경을 Turborepo로 간단하게 구성 가능
  • 📦 백엔드 없이 tRPC로 API 구성 → 풀스택 개발자에게 이상적
  • 💨 Tailwind + Next 조합 → 빠른 UI/UX 프로토타이핑
  • 🔐 TypeScript + Zod → 타입 기반의 안전한 개발

스타트업 MVP, 사이드 프로젝트, 대규모 앱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 EX) 실제 예시: 1인 개발자의 T3 사용기

제가 개인 사이드 프로젝트로 만든 북마크 앱도 T3 Stack을 활용했는데요,

  • 🧭 라우팅은 Next.js
  • 🔐 인증은 NextAuth
  • 🔄 데이터는 Prisma + PlanetScale
  • 🛠 API는 tRPC로 작성

결과적으로 서버 없이도 “마치 백엔드가 있는 것처럼” 개발 가능했어요.

 


📌 정리: 이런 분들에게 추천

  • 👨‍💻 1인 사이드 프로젝트를 빠르게 만들고 싶은 개발자
  • 🏗 프론트엔드 중심 스타트업에서 풀스택 느낌 내고 싶은 분
  • 📦 코드 구조와 유지보수를 신경쓰는 중급 이상 개발자
반응형
반응형

문서 작성은 개발자에게 있어 귀찮지만 반드시 필요한 작업입니다.
특히 README, API 명세서, 사용법 문서 등은 개발 품질의 일부로 취급되죠.
이번 글에서는 ChatGPT를 활용해 API 문서를 자동화하는 실전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 1. 코드 → 문서 자동 변환

ChatGPT에 코드를 붙여넣고 “README처럼 요약해줘”라고만 해도 핵심 기능을 설명하는 문서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예시 프롬프트:
이 코드를 기반으로 간단한 README.md 만들어줘
→ 사용 언어, 주요 기능, 실행 방법 포함해서

특히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소개문구를 자동으로 완성할 때 유용합니다.

 


🔌 2. API 코드 → Swagger 문서 자동 생성

Express, Flask, Spring 등에서 만든 API 코드에서 ChatGPT가 Swagger(OpenAPI) 스펙을 추출해줍니다.

🧪 예시 프롬프트:
아래 Express 라우터 코드를 기반으로 Swagger 문서 YAML로 만들어줘

ChatGPT는 parameter, response, status code 등을 자동으로 분석해 넣어줍니다.

 


📬 3. Postman용 API 스펙 JSON 생성

Postman에서 불러올 수 있는 collection.json 파일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 예시 프롬프트:
다음 API들로 Postman import 가능한 JSON 파일 구조를 만들어줘

원하는 API에 대한 설명, 헤더, 파라미터, 예시 응답 등도 함께 요청하세요.

 


📝 4. 코드에 주석이 없다면?

주석이 없는 코드도 문제없습니다. ChatGPT가 함수의 이름, 변수명, 흐름을 기반으로 의도 추론이 가능합니다.

🧪 예시 프롬프트:
아래 Python 코드의 동작을 정리해서 API 사용법 문서로 바꿔줘

단, **함수명이 의미 없을 경우는 간단한 설명을 추가해주면 더 정확합니다.**

 


📦 5. 실제 예시: ChatGPT 프롬프트


[예제 프롬프트]
"다음은 Node.js Express API 코드입니다.
각 라우트의 기능을 설명하고, Swagger YAML 문서로 만들어주세요.
추가로 Postman collection JSON도 생성해주세요."

[붙여넣기: 코드]

→ ChatGPT가 Swagger, Postman, Markdown README까지 한 번에 생성!

 


✅ 마무리: 자동화 + 사람의 리뷰

ChatGPT는 초안 작성에는 탁월하지만, **실제 문서는 최종 검수와 튜닝이 꼭 필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성 시간은 최소 80% 단축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ChatGPT를 개발에 사용하는 건 누구나 합니다.
하지만 정말 잘 쓰는 개발자프롬프트를 다르게 씁니다.
이 글에서는 ChatGPT를 통해 정확하고 실용적인 답변을 얻는 프롬프트 작성법을 7가지로 정리해 드립니다.

 


🎯 1. “역할 부여”는 기본이다

ChatGPT에게 역할을 먼저 정해주면 더 명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 잘못된 예: 로그인 API 만들어줘
✅ 좋은 예: 백엔드 개발자인 척 하면서, Node.js로 JWT 로그인 API 만들어줘

TIP: 역할을 부여할 때는 "~처럼 생각해줘" 문장이 효과적입니다.

 


🧱 2. "제약 조건"을 구체적으로 넣어라

명확한 조건이 없으면 ChatGPT는 가장 일반적인 답변만 줍니다.

🔍 기본: 리액트 테이블 예제 만들어줘
✅ 개선: 리액트에서 5개 행만 표시되는 테이블, 버튼 누르면 다음 페이지로 넘기게 만들어줘

→ 원하는 동작, 사용 도구, 예외 조건 등을 함께 써주세요

 


🧪 3. "예시"를 먼저 보여줘라

프롬프트에 샘플 입력과 출력 예시가 있으면 정확도가 매우 높아집니다.

예:
입력: [1,2,3,4,5]
출력: 짝수만 필터해서 반환 → [2,4]
그런 함수를 자바스크립트로 만들어줘

 

 


🔁 4. 잘못된 응답은 "수정 요청"하라

ChatGPT의 첫 응답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수정 지시도 프롬프트로 가능합니다.

💬 예:
“이 코드 너무 장황한데, 간결하게 줄여줘”
“에러가 나는데 try/catch 넣어서 다시 만들어줘”

GPT는 대화형 도구입니다 → 계속 수정 요청해도 됩니다.

 


🔎 5. “왜”라고 물어보면 학습이 된다

단순한 답보다, 그 답의 이유까지 설명받으면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예:
“이 코드에서 reduce를 쓴 이유가 뭐야?”
“왜 useEffect에 의존성 배열을 꼭 넣어야 해?”

이런 질문은 실무 면접에도 도움이 되는 공부법입니다.

 


🛠 6. 코드 설명 → 다이어그램 요청도 가능

코드 흐름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고 싶을 때 사용해보세요.

예:
“이 코드의 흐름을 도식화해서 설명해줘. 플로우차트처럼”

또는 “폴더 구조를 계층 트리 형태로 보여줘” 등도 가능합니다.

 


🧠 7. 자주 쓰는 프롬프트는 템플릿으로 저장하자

복잡한 설명을 매번 입력하지 말고, 자주 쓰는 구조를 저장해두세요.

📝 예시 템플릿:
“아래 코드는 JavaScript로 작성된 함수야. 이 코드의 동작을 단계별로 설명하고, 개선할 점이 있다면 알려줘”

Notion, VSCode Snippet, Obsidian 등에 저장해두면 효율 2배!

 


✅ 마무리하며

프롬프트는 곧 생산성입니다. 같은 질문을 해도 어떻게 묻느냐에 따라 답이 달라집니다.
이번 글에서 소개한 프롬프트 작성법만 잘 써도, ChatGPT는 단순 도우미를 넘어서 개발 파트너가 될 수 있습니다.

💬 여러분만의 프롬프트 작성 노하우도 댓글로 공유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2025년 지금, ChatGPT는 개발자들의 비밀 병기로 자리잡았습니다.
단순한 코드 생성기를 넘어서, 개발의 전 과정을 도와주는 AI 비서로 활용되고 있죠.
이 글에서는 ChatGPT로 실제 개발 효율을 200% 높일 수 있는 방법을 7가지로 정리해드립니다.

 


💡 1. 반복적인 코드 자동화

form, CRUD, API 호출 등 자주 쓰는 패턴은 ChatGPT가 5초 만에 생성해줍니다.

🧪 예시 프롬프트:
"React에서 Axios로 GET/POST 요청하는 코드 예시 보여줘"

 

 


🔍 2. 코드 리뷰 및 리팩토링 추천

내가 작성한 코드를 붙여 넣으면 ChatGPT가 더 깔끔한 방식이나 버그 가능성을 알려줍니다.

🧪 예시 프롬프트:
"아래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리팩토링해줘. 가독성 좋게"

 

 


📖 3. 공식 문서 요약

어려운 공식 문서를 요약하거나, 핵심 내용만 뽑아 설명해달라고 요청해보세요.

🧪 예시 프롬프트:
"React의 useEffect 훅을 초보자에게 쉽게 설명해줘"

 

 


🐞 4. 에러 메시지 디버깅

Stack Overflow 뒤질 필요 없이 에러 메시지를 붙여넣으면 해결 방법을 제시해줍니다.

🧪 예시 프롬프트:
"이 에러가 발생한 이유가 뭐야? →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 5. Git 커밋 메시지 자동 생성

수정 내용을 설명하면 ChatGPT가 명확한 커밋 메시지를 자동으로 만들어줍니다.

🧪 예시 프롬프트:
"로그인 로직 수정하고, 실패 시 alert 추가했어. 커밋 메시지로 요약해줘"

 

 


🎯 6. 코드 테스트 케이스 자동 생성

함수를 입력하면 그에 맞는 Jest, Mocha, PyTest 등의 테스트 코드를 만들어줍니다.

🧪 예시 프롬프트:
"아래 파이썬 함수에 대한 유닛 테스트 코드 작성해줘"

 

 

 


🌍 7. 개발자용 번역기

오픈소스 코드나 문서에서 영어가 막힐 때 개발자 눈높이에 맞는 번역 제공

🧪 예시 프롬프트:
"이 영어 문장 개발자식으로 번역해줘 → This function is deprecated"

 

 


✅ 마무리

이제 ChatGPT는 단순한 코드 생성기를 넘어서, 코딩 파트너입니다.
효율적으로 쓰는 사람은 하루 3시간을 아끼고, 쓰지 않는 사람은 그만큼 뒤처질 수도 있어요.

반응형
반응형

개발자가 되기 위해 꼭 알아야 하는 버전 관리 도구, Git과 GitHub!
처음 접하면 어렵게 느껴지지만, 실제로는 몇 가지 핵심 흐름만 익히면 충분합니다.
이 글에서는 입문자가 가장 자주 쓰는 Git & GitHub 워크플로우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 1. Git과 GitHub 차이부터 이해하자

  • Git: 로컬(내 컴퓨터)에서 버전 관리를 하는 도구
  • GitHub: Git 저장소를 온라인에 저장하고 협업할 수 있게 도와주는 플랫폼

Git은 저장소를 만드는 도구이고, GitHub는 그 저장소를 공유하는 공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2. 깃 기본 명령어 익히기

git init        # 새 Git 저장소 생성
git add .       # 모든 변경 파일 스테이지에 올리기
git commit -m "메시지"  # 커밋 저장
git status      # 변경사항 확인
git log         # 커밋 히스토리 보기

Tip: 커밋 메시지는 한 줄 요약처럼! 예: feat: 로그인 기능 추가

 


🌐 3. GitHub 저장소 연결하기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내계정/저장소이름.git
git push -u origin main

remote add는 로컬 Git과 GitHub 저장소를 연결하는 명령어입니다.
처음 한 번만 해주고, 이후에는 git push로 푸시만 하면 됩니다.

 


🔁 4. 실전 워크플로우 순서

  1. 작업 시작 전: git pull로 최신 코드 받기
  2. 작업 후: git addgit commit
  3. 변경사항 올리기: git push
  4. 협업 시: GitHub에서 PR(Pull Request) 만들기

💬 Pull Request는 "내가 수정한 내용 봐줘!"라고 요청하는 과정입니다.
팀 개발에선 PR 리뷰를 통해 코드 품질을 관리해요.

 


🧠 5. 자주 하는 실수 & 팁

  • commit만 하고 push를 안 하는 경우 많아요!
  • ❌ GitHub에 올리려면 꼭 remote 설정이 필요해요
  • .gitignore로 불필요한 파일은 올리지 않기
  • ✅ GitHub에서 README.md로 프로젝트 소개 추가하면 보기 좋아요

 


🎁 실전 예제 저장소

👉 예제 GitHub 저장소 보러가기
입문용으로 Hello-World 저장소를 클론해 보고 직접 커밋해보세요!

 


✅ 마무리

처음엔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Git과 GitHub는 개발자의 필수 도구입니다.
오늘 소개한 워크플로우만 익히면 누구나 깔끔한 버전 관리를 할 수 있어요.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Visual Studio Code 확장팩 5가지를 소개합니다.
코딩 생산성을 높이고 싶은 분들이라면 꼭 설치해 보세요. 각 확장팩의 실제 사용 예제도 함께 정리했습니다.

 

 


1. Prettier – 코드 자동 정렬의 끝판왕

기능: JavaScript, TypeScript, HTML 등 대부분의 언어 코드 정렬을 자동으로 처리
추천 설정: 프로젝트 루트에 .prettierrc 파일 추가

{
  "singleQuote": true,
  "semi": false,
  "printWidth": 80
}

🔧 VSCode 저장 시 자동 정렬 설정 방법:
settings.json에 아래 설정 추가

"editor.formatOnSave": true

 


2. ESLint – 코드 오류 미리 예방

기능: 문법 오류, 스타일 문제를 실시간으로 감지
추천 설정: .eslintrc.json 예시

{
  "env": {
    "browser": true,
    "es2021": true
  },
  "extends": "eslint:recommended",
  "rules": {
    "no-unused-vars": "warn",
    "no-console": "off"
  }
}

💡 Prettier와 충돌 방지: eslint-config-prettier 사용 추천

 


3. GitLens – 누가 코드를 썼는지 한눈에

기능: 각 줄의 작성자, 커밋 시간, 변경 이력을 표시해 줍니다.
실전 활용: 협업 중 “이거 누가 썼지?” 궁금할 때 바로 확인!

 

 


4. REST Client – Postman 없이 API 테스트

기능: VSCode 내에서 HTTP 요청 테스트 가능
예시: api.http 파일에 다음처럼 작성

GET https://jsonplaceholder.typicode.com/posts/1
Content-Type: application/json

Send Request 버튼 클릭으로 바로 응답 확인!

 


5. TODO Highlight – 할 일은 잊지 말자

기능: 코드 내 // TODO, // FIXME 등의 주석을 강조 표시
활용 팁: 프로젝트 전체에서 할 일을 시각적으로 추적

// TODO: 로그인 기능 추가하기
// FIXME: 모바일에서 버튼 깨짐 현상 수정

🔍 빠르게 찾으려면 Cmd/Ctrl + Shift + P → “TODOs: List all”

 


📌 추천 VSCode 워크플로우

  • Prettier + ESLint 조합으로 깔끔한 코드 유지
  • REST Client로 백엔드 API 빠르게 테스트
  • GitLens로 커밋 추적하며 안전하게 리팩토링

 

✅ 마무리하며

이 글에서 소개한 확장팩만 잘 활용해도 개발 속도와 코드 품질이 눈에 띄게 좋아집니다.
다음에는 “입문자를 위한 깃&깃허브 워크플로우 정리”도 정리해볼게요.

💬 여러분이 자주 쓰는 VSCode 확장팩도 댓글로 추천해주세요!

반응형
반응형

 

 

💬 SettingWithCopyWarning:
Pandas에서 특정 조건으로 값을 수정할 때 자주 등장하는 애매한 경고!
"왜 바꿨는데 경고가 뜨지?" 싶은 분들을 위한 설명입니다.

 


 

❗ 경고 메시지 예시

A value is trying to be set on a copy of a slice from a DataFrame.
Try using .loc[row_indexer,col_indexer] = value instead

 

 

🔍 원인: DataFrame에서 복사본에 값을 할당할 때

df2 = df[df['score'] > 90]
df2['grade'] = 'A'  # ❗ 경고 발생 가능

 

 

→ 이 코드는 원본 df가 아니라 df의 일부 복사본에 값을 설정하려고 하므로 경고가 뜹니다.


 

🛠️ 해결 방법

✔ .loc[]을 명시적으로 사용

df.loc[df['score'] > 90, 'grade'] = 'A'  # ✅ 안전한 방식

 

✔ .copy()를 사용해 아예 복사본임을 명시

df2 = df[df['score'] > 90].copy()
df2['grade'] = 'A'  # ✅ 명시된 복사본엔 경고 없음

 

 


✅ 마무리 정리

  • Pandas는 슬라이싱 결과가 복사본인지, 뷰인지 애매할 수 있어 경고를 띄웁니다.
  • .copy()나 .loc[]를 명확하게 써주면 경고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 IndexError: list index out of range
리스트의 범위를 벗어난 인덱스를 접근할 때 자주 나오는 에러입니다.

 

❗ 에러 메시지 예시

 

IndexError: list index out of range

 

리스트나 튜플 등 인덱스로 접근 가능한 자료형에서
존재하지 않는 인덱스를 호출하면 발생합니다.

 


 

🔍 원인: 리스트 길이보다 큰 인덱스를 호출

 

my_list = [10, 20, 30]
print(my_list[3])  # ❌ 존재하지 않음 → IndexError

 

→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합니다. 위 리스트의 인덱스는 0, 1, 2뿐입니다.

 


 

🧪 자주 발생하는 상황

① for문에서 범위를 잘못 설정

for i in range(len(my_list) + 1):
    print(my_list[i])  # 마지막에 IndexError 발생

 

② 빈 리스트에 접근

data = []
print(data[0])  # ❌ 빈 리스트 → 어떤 인덱스도 존재하지 않음

 


 

 

🛠️ 해결 방법

1. 리스트의 길이를 먼저 확인하기

if len(data) > 0:
    print(data[0])

 

2. try-except로 안전하게 처리

try:
    print(my_list[3])
except IndexError:
    print("유효하지 않은 인덱스입니다.")

 


 

✅ 마무리 정리

  • 인덱스는 항상 0 ~ len(list)-1 사이여야 합니다.
  • len() 함수로 범위를 확인하고, 잘못된 접근은 예외처리로 막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