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개발자 Henry입니다!
오늘은 날씨가 무지 더웠던 하루였는데요,
이런 날씨에는 집에서 시원한 에어컨 바람에 코딩 문제를 풀며 시간을 보내는 게 좋은 것 같습니다ㅎㅎ
오늘 제가 풀어본 문제는 프로그래머스에서 카카오 인턴 코딩테스트용으로
나왔던 문제입니다.
이름하여, 키패드 누르기!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문제 설명
스마트폰 전화 키패드의 각 칸에 다음과 같이 숫자들이 적혀 있습니다.

이 전화 키패드에서 왼손과 오른손의 엄지손가락만을 이용해서 숫자만을 입력하려고 합니다.
맨 처음 왼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에 오른손 엄지손가락은 # 키패드 위치에서 시작하며, 엄지손가락을 사용하는 규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엄지손가락은 상하좌우 4가지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으며 키패드 이동 한 칸은 거리로 1에 해당합니다.
- 왼쪽 열의 3개의 숫자 1, 4, 7을 입력할 때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 오른쪽 열의 3개의 숫자 3, 6, 9를 입력할 때는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 가운데 열의 4개의 숫자 2, 5, 8, 0을 입력할 때는 두 엄지손가락의 현재 키패드의 위치에서 더 가까운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4-1. 만약 두 엄지손가락의 거리가 같다면, 오른손잡이는 오른손 엄지손가락, 왼손잡이는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합니다.
순서대로 누를 번호가 담긴 배열 numbers, 왼손잡이인지 오른손잡이인 지를 나타내는 문자열 han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번호를 누른 엄지손가락이 왼손인 지 오른손인 지를 나타내는 연속된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numbers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 numbers 배열 원소의 값은 0 이상 9 이하인 정수입니다.
- hand는 "left" 또는 "right" 입니다.
- "left"는 왼손잡이, "right"는 오른손잡이를 의미합니다.
- 왼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L, 오른손 엄지손가락을 사용한 경우는 R을 순서대로 이어붙여 문자열 형태로 return 해주세요.
입출력 예
numbershandresult
[1, 3, 4, 5, 8, 2, 1, 4, 5, 9, 5] | "right" | "LRLLLRLLRRL" |
[7, 0, 8, 2, 8, 3, 1, 5, 7, 6, 2] | "left" | "LRLLRRLLLRR" |
[1, 2, 3, 4, 5, 6, 7, 8, 9, 0] | "right" | "LLRLLRLLRL" |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순서대로 눌러야 할 번호가 [1, 3, 4, 5, 8, 2, 1, 4, 5, 9, 5]이고, 오른손잡이입니다.
왼손 위치오른손 위치눌러야 할 숫자사용한 손설명
* | # | 1 | L | 1은 왼손으로 누릅니다. |
1 | # | 3 | R | 3은 오른손으로 누릅니다. |
1 | 3 | 4 | L | 4는 왼손으로 누릅니다. |
4 | 3 | 5 | L |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2이므로 왼손으로 5를 누릅니다. |
5 | 3 | 8 | L |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3이므로 왼손으로 8을 누릅니다. |
8 | 3 | 2 | R | 왼손 거리는 2, 오른손 거리는 1이므로 오른손으로 2를 누릅니다. |
8 | 2 | 1 | L | 1은 왼손으로 누릅니다. |
1 | 2 | 4 | L | 4는 왼손으로 누릅니다. |
4 | 2 | 5 | R | 왼손 거리와 오른손 거리가 1로 같으므로, 오른손으로 5를 누릅니다. |
4 | 5 | 9 | R | 9는 오른손으로 누릅니다. |
4 | 9 | 5 | L | 왼손 거리는 1, 오른손 거리는 2이므로 왼손으로 5를 누릅니다. |
5 | 9 | - | - |
따라서 "LRLLLRLLRRL"를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2
왼손잡이가 [7, 0, 8, 2, 8, 3, 1, 5, 7, 6, 2]를 순서대로 누르면 사용한 손은 "LRLLRRLLLRR"이 됩니다.
입출력 예 #3
오른손잡이가 [1, 2, 3, 4, 5, 6, 7, 8, 9, 0]를 순서대로 누르면 사용한 손은 "LLRLLRLLRL"이 됩니다.
프로그래머스에서 Level 1 문제여서 가벼운 마음으로 풀어나갔습니다.
처음에는 최단경로 문제처럼 보였지만,
실제로는 Dictionary를 만들어 시간복잡도 n(1)의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었습니다.
아래는 제가 푼 코드입니다.
def solution(numbers, hand):
_dict = {'1':{'2': 1, '5': 2, '8': 3, '0': 4},
'2':{'2': 0, '5': 1, '8': 2, '0': 3},
'3':{'2': 1, '5': 2, '8': 3, '0': 4},
'4':{'2': 2, '5': 1, '8': 2, '0': 3},
'5':{'2': 1, '5': 0, '8': 1, '0': 2},
'6':{'2': 2, '5': 1, '8': 2, '0': 3},
'7':{'2': 3, '5': 2, '8': 1, '0': 2},
'8':{'2': 2, '5': 1, '8': 0, '0': 1},
'9':{'2': 3, '5': 2, '8': 1, '0': 2},
'0':{'2': 3, '5': 2, '8': 1, '0': 0},
'*':{'2': 4, '5': 3, '8': 2, '0': 1},
'#':{'2': 4, '5': 3, '8': 2, '0': 1}
}
answer = ''
_right_hand = '#'
_left_hand = '*'
for i in numbers:
if i in [1,4,7]:
_left_hand = str(i)
answer += "L"
elif i in [3,6,9]:
_right_hand = str(i)
answer += "R"
else:
if _dict[_right_hand][str(i)] > _dict[_left_hand][str(i)]:
_left_hand = str(i)
answer += "L"
elif _dict[_right_hand][str(i)] < _dict[_left_hand][str(i)]:
_right_hand = str(i)
answer += "R"
else:
if hand == "right":
_right_hand = str(i)
answer += "R"
else:
_left_hand = str(i)
answer += "L"
return answer
거의 노가다로 풀었다고 할 수 있는데요,
실제로 이렇게 푸신 분들도 여럿 계시다고 하시더라구요!
저는 메모리를 많이 사용해서 풀게 되었는데,
변수를 잘 활용하시면 저처럼 메모리 공간을 많이 쓰지 않고도 푸실 수 있다고 하시니,
참고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다들 편안한 밤 되세요~
https://www.youtube.com/watch?v=ViLh8HtdsGY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2019 카카오 블라인드 채용] 오픈채팅방 - Henry's Algorithm (0) | 2021.09.02 |
---|---|
프로그래머스 [2021 카카오 채용연계형 인턴십] 숫자 문자열과 영단어 - Henry's Algorithm (0) | 2021.08.15 |
프로그래머스 '폰켓몬' 문제풀이 - Henry's Algorithm (0) | 2021.07.18 |
프로그래머스 '신규 아이디 추천' 문제풀이 - Henry's Algorithm (0) | 2021.07.17 |
프로그래머스 'N으로 표현' 문제풀이 - Henry's Algorithm (0) | 2021.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