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you can write to stdout for debugging purposes, e.g.
# print("this is a debug message")

def solution(A):
    # write your code in Python 3.6
    
    arr__ = [0]*(2*len(A)+1)
    arr = []
    
    saved = [-1]*(2*len(A)+1)
    
    for i in range(len(A)):
        arr__[A[i]] += 1
    
    
    for i in range(len(A)):
        divisor = 0
        
        if saved[A[i]] != -1:
            arr.append(saved[A[i]])
            continue
        
        for j in range(1,int(A[i]**0.5)+1):
            
            if A[i]%j == 0:
                divisor += arr__[j]
                
                if A[i]/j != j:
                    divisor += arr__[A[i]//j]
            
            j += 1
                    
        arr.append(len(A)-divisor)
        saved[A[i]] = len(A)-divisor
            
    
    return arr
                
    pass
반응형
반응형

문제 설명

위와 같은 삼각형의 꼭대기에서 바닥까지 이어지는 경로 중, 거쳐간 숫자의 합이 가장 큰 경우를 찾아보려고 합니다. 아래 칸으로 이동할 때는 대각선 방향으로 한 칸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만 이동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3에서는 그 아래칸의 8 또는 1로만 이동이 가능합니다.

삼각형의 정보가 담긴 배열 triangle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거쳐간 숫자의 최댓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제한사항

  • 삼각형의 높이는 1 이상 500 이하입니다.
  • 삼각형을 이루고 있는 숫자는 0 이상 9,999 이하의 정수입니다.

입출력 예

triangleresult

[[7], [3, 8], [8, 1, 0], [2, 7, 4, 4], [4, 5, 2, 6, 5]] 30

출처

 

Sweden

International Olympiad in Informatics – Statistics Contact information Participation in IOI (based on database records) First participation: 1990Years participated: 31Contestants participated: 82 Perfomance in IOI Gold medals: 13Silver medals: 30Bronze m

stats.ioinformatics.org

 

 

 

프로그래머스의 LEVEL 3에 있는 정수 삼각형 문제이다.

문제 설명을 보면 Dynamic Programming 개념을 통해서 풀라고 나와있다.

 

나는 동적 프로그래밍이 처음에는 재귀 호출을 통해서 푸는 방식이라고 생각했는데,

이 문제를 보면서 다시 알게 된 것은

 

재귀호출도 그렇고 이 정수 삼각형 문제도 그렇고

"처음부터 하나씩 쌓아나가는 개념" 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푼 방식은 for문을 2번 돌리면서 진행하는데,

생각한거와는 다르게 채점 시 Timeout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고,

 

문제에 따라서는 모든 정수에 한번씩은 다 접근해야하는 경우에 이렇게 Dynamic Programming을 통해 풀 수 있는 거 같다.

 

아래는 내가 푼 코드이다.

 

def solution(triangle):

    for i in range(1,len(triangle)):
        for j in range(len(triangle[i])):
            if j == 0:
                triangle[i][j] += triangle[i-1][0]
            elif j == len(triangle[i])-1:
                triangle[i][j] += triangle[i-1][j-1]
            else:
                triangle[i][j] += max(triangle[i-1][j-1],triangle[i-1][j])
                
    return max(triangle[-1])

 

 

반응형
반응형

 

문제 설명

네트워크란 컴퓨터 상호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연결된 형태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 A와 컴퓨터 B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고, 컴퓨터 B와 컴퓨터 C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때 컴퓨터 A와 컴퓨터 C도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교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컴퓨터 A, B, C는 모두 같은 네트워크 상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의 개수 n, 연결에 대한 정보가 담긴 2차원 배열 comput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네트워크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하시오.

제한사항

  • 컴퓨터의 개수 n은 1 이상 2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각 컴퓨터는 0부터 n-1인 정수로 표현합니다.
  • i번 컴퓨터와 j번 컴퓨터가 연결되어 있으면 computers[i][j]를 1로 표현합니다.
  • computer[i][i]는 항상 1입니다.

입출력 예

ncomputersreturn

3 [[1, 1, 0], [1, 1, 0], [0, 0, 1]] 2
3 [[1, 1, 0], [1, 1, 1], [0, 1, 1]] 1

입출력 예 설명

예제 #1
아래와 같이 2개의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예제 #2
아래와 같이 1개의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프로그래머스의 LEVEL 3단계 문제이다.

풀이의 핵심은 DFS, BFS 함수를 정의하여 풀면 된다.

 

나는 DFS로 시작 컴퓨터 정하고, 깊이를 파고들어서 visit 리스트에 넣어주었다.

 

이후 다른 컴퓨터에 한번씩 접근했을 때

이전 컴퓨터를 통해 이미 visit 값에 포함되어 있다면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있는 컴퓨터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다른 컴퓨터에 접근할 때마다 visit가 늘어나게 되면 그 컴퓨터는 독립적인 네트워크라고 판단하여 문제를 풀었다.

 

 

풀이 코드

 

def solution(n, computers):
    
    # 네트워크 개수
    net_num = 0
    
    # 방문 컴퓨터 리스트
    visit = list()
    
    # 컴퓨터에 한번씩 접근하면서 깊이우선탐색 수행
    for i in range(len(computers)):
        net_num += dfs(computers,i,visit)
    
    return net_num


def dfs(computers, start_computer, visit):
    
    # 깊이 우선 탐색은 스택으로 구현한다.
    stack = list()
    
    # 신규 네트워크 여부
    is_connect = 0
    
    # 시작 컴퓨터
    stack.append(start_computer)
    
    while stack:
        node = stack.pop()
        if node not in visit:
            visit.append(node)
            stack.extend([i for i in range(len(computers[node])) if i != node and computers[node][i] != 0])
            is_connect = 1
            
    return is_connect
반응형
반응형

랜섬웨어란

랜섬 = 몸값, 웨어 = 소프트웨어 의 합성어로, 어떤 시스템의 몸값을 요구하는 행위이다.

컴퓨터 시스템을 감염시키고, 해당 감염을 없애주는 대가로 몸값을 요구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어떠한 파일을 감염시키는 경우도 있지만, 단순하게 잠금으로 해놓고 몸값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아래는 위키백화

"악성코드로서 사용자의 동의 없이 컴퓨터에 설치되어 내부 파일을 인질로 잡아 금전적인 요구를 한다. 일반적으로 윈도우 운영체제가 설치된 PC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모바일 환경에서도 발생하며, 맥 OS도 감염될 수 있다."

 

디도스

도스 (Denial-Of-Service attack) => 서비스 거부공격

서비스 거부공격은 서비스를 악의적으로 공격해 시스템 자원을 부족하게 만들어 시스템의 원래 기능과 목적을 상실하게 만드는 공격이다.

 

디도스(Distributed-Denial-OPf-Service attack) => 분산 서비스 거부공격

여러대의 공격자를 분산적으로 배치해 동시에 서비스 거부 공격을 진행한다.

 

공격 유형

DoS 공격은 몇가지 방법으로 침투할 수 있다. 다섯 가지 기본 공격 유형은 다음과 같다.

  1. 전산 자원을 소진시킨다.
  2. 구성 정보를 교란한다.
  3. 상태 정보를 교란한다.
  4. 물리적 전산망 요소를 교란한다.
  5. 원래 사용자와 희생물 사이의 통신 매체를 차단한다.
  6. 지금은 불가능하나 1초에 수백만번 새로고침을 하여 서버를 다운시킨다.
반응형
반응형

논리 테이블

ERD를 그릴때 필요한 객체와 관계, 속성 등을 명시해주는 테이블 구조이다.

 

고려사항

객체, 관계, 속성, 기본키, 후보키, 논리적 ER 모델 및 정규화 과정, 논리적 제약사항을 명시한다.

 

물리 테이블

논리 테이블을 실제 DBMS 벤더에 적용시킬 때, 필요한 과정이다.

특정 데이터베이스를 선정하고, 해당 제품에 맞는 방식으로 논리테이블을 설계해나가는 방식이다.

논리테이블을 실제 DBMS 제품의 특성에 맞도록 적용하는 과정이다.

 

고려사항

기초테이블 설계, 확장성, 분산성 고려, 트랜잭션 분석, 논리적 제약사항을 DB제품의 무결성 제약사항으로 선정, 물리적 정규화, 인덱스, 뷰, 저장 프로시저 등을 DB 제품의 개체를 설계한다.

반응형
반응형

 

 

 

 

블로킹(Blocking)

DBMS의 가장 작은 실행단위인 트랜잭션이 실행될 때,

접근하는 자원의 고유성을 보장하기 위해, 잠시 다른 트랜잭션의 개입을 막는 것을 의미한다.

 

최적의 성능을 위해서는 이런 트랜잭션을 최대한 짧게 진행해야한다.

 

블로킹 상태가 많을 수록, 사용자의 Latency는 길어지고, 불편함을 호소한다.

이것을 방지하지 위해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한다.

 

SELECT * FROM USERS

SET LOCK_TIMEOUT 10000
GO

 

10000는 10초이다. (1000 = 1초)

 

아래의 정보를 꼭 기억하자

- set lock_timeout 0 : 블로킹이 걸려있으면 곧바로 종료

- set lock_timeout -1 : 블로킹이 걸려있으며 해지될 때까지 무작정 기다림(기본값)

 

 

데드락(Deadlock)

서로 다른 트랜잭션이 거의 동시에 발동하여

각각의 자원을 블로킹하고 있는 상태일 때, 두 트랜잭션이 서로 상대의 블로킹된 정보에 접근하고자 할 때,

서로 하염없이 기다리는 상태이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데드락 걸렸을 때, 아래와 같이 우선순위를 미리 정해준다.

트랜잭션 쿼리 안에 아래의 내용을 기입한다.

SET DEADLOCK_PRIORITY

 

반응형
반응형

 

 

외부 키 설정 방법

CREATE TABLE person(
NAME CHAR PRIMARY KEY,
AGE INTEGER);

CREATE TABLE foreign(
NAME CHAR,
FOREIGN KEY (NAME) REFERENCE person(NAME));

 

다중 컬럼을 기본 키로 설정하는 방법

CREATE TABLE person(
NAME CHAR NOT NULL PRIMARY KEY,
AGE INTEGER NOT NULL,
ADDRESS CHAR)

CREATE TABLE member(
NAME CHAR NOT NULL,
AGE INTEGER NOT NULL,
PRIMARY KEY(NAME,AGE))

 

자동으로 1값씩 증가하는 테이블 만들기

(AUTO_INCREMENT를 사용하면 된다.)

CREATE TABLE test(
NUMBER INTEGER(10) NOT NULL AUTO_INCREMENT PRIMARY KEY,
NAME VARCHAR(10) NOR NULL
);

 

반응형
반응형

 

A non-empty array A consisting of N integers is given.

A peak is an array element which is larger than its neighbors. More precisely, it is an index P such that 0 < P < N − 1,  A[P − 1] < A[P] and A[P] > A[P + 1].

For example, the following array A:

A[0] = 1 A[1] = 2 A[2] = 3 A[3] = 4 A[4] = 3 A[5] = 4 A[6] = 1 A[7] = 2 A[8] = 3 A[9] = 4 A[10] = 6 A[11] = 2

has exactly three peaks: 3, 5, 10.

We want to divide this array into blocks containing the same number of elements. More precisely, we want to choose a number K that will yield the following blocks:

  • A[0], A[1], ..., A[K − 1],
  • A[K], A[K + 1], ..., A[2K − 1],
    ...
  • A[N − K], A[N − K + 1], ..., A[N − 1].

What's more, every block should contain at least one peak. Notice that extreme elements of the blocks (for example A[K − 1] or A[K]) can also be peaks, but only if they have both neighbors (including one in an adjacent blocks).

The goal is to find the maximum number of blocks into which the array A can be divided.

Array A can be divided into blocks as follows:

  • one block (1, 2, 3, 4, 3, 4, 1, 2, 3, 4, 6, 2). This block contains three peaks.
  • two blocks (1, 2, 3, 4, 3, 4) and (1, 2, 3, 4, 6, 2). Every block has a peak.
  • three blocks (1, 2, 3, 4), (3, 4, 1, 2), (3, 4, 6, 2). Every block has a peak. Notice in particular that the first block (1, 2, 3, 4) has a peak at A[3], because A[2] < A[3] > A[4], even though A[4] is in the adjacent block.

However, array A cannot be divided into four blocks, (1, 2, 3), (4, 3, 4), (1, 2, 3) and (4, 6, 2), because the (1, 2, 3) blocks do not contain a peak. Notice in particular that the (4, 3, 4) block contains two peaks: A[3] and A[5].

The maximum number of blocks that array A can be divided into is three.

Write a function: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A); }

that, given a non-empty array A consisting of N integers, returns the maximum number of blocks into which A can be divided.

If A cannot be divided into some number of blocks, the function should return 0.

For example, given:

A[0] = 1 A[1] = 2 A[2] = 3 A[3] = 4 A[4] = 3 A[5] = 4 A[6] = 1 A[7] = 2 A[8] = 3 A[9] = 4 A[10] = 6 A[11] = 2

the function should return 3, as explained above.

Write an efficient algorithm for the following assumptions:

  • N is an integer within the range [1..100,000];
  • each element of array A is an integer within the range [0..1,000,000,000].

    Copyright 2009–2020 by Codility Limited. All Rights Reserved. Unauthorized copying, publication or disclosure prohibited.

 

 

Peaks 문제는 봉우리를 최소 1개씩 포함하고 있는 Block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최대 블록의 개수를 Return 해주면 되는데,

그 방법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짜야되는지 다양하게 시도하다가 

결국 답지를 보고 풀었다.ㅜㅜ!!

 

그래도 이 방법 잘 알아두어야겠다.

 

정답 코드

# you can write to stdout for debugging purposes, e.g.
# print("this is a debug message")

def solution(A):
    # write your code in Python 3.6
    
    peaks = []
    
    for i in range(1, len(A)-1):
        if A[i] > A[i-1] and A[i] > A[i+1]:
            peaks.append(i)
            
    for i in range(len(peaks),0,-1):
        if len(A) % i == 0:
            block_size = len(A)//i
            block = [False]*i
            block_cnt = 0
            for j in range(len(peaks)):
                idx = peaks[j] // block_size
                if block[idx] == False:
                    block[idx] = True
                    block_cnt += 1
            
            if block_cnt == i:
                return block_cnt
        
    return 0
        
    pass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