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코딩교육자 헨리입니다!

 

오늘은 아주 짧게 스타트업에서 데이터 팀이라는 주제로

어떤 역할들을 감당해야 하는지 공부하였습니다.

 

제가 요즘 공부하고 있는 강의는

실리콘밸리에서 날아온 데이터 분석 커리어 특강

이라는 주제의 한기용 강사님의 강의입니다!

 

이 강의를 들으면서, 

보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데이터 직군을 바라볼 수 있음에 유익한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바로 본론으로 넘어가 오늘 포스팅의 목적인 

스타트업에서 데이터 팀의 역할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스타트업의 환경에 대해서 알아보자.

- 초기 데이터 팀의 주업무는 마테킹인 경우가 많음

- 데이터 인프라가 먼저 구축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음

 

 

초기 스타트업에는 데이터가 없음!

따라서 데이터 인프라나 분석가나 과학자가 필요없다.

하루 하루 생존과 PMF(Product Market Fit)을 찾는 것이 더 중요

가능하다면 최대한 ETL 관련 SaaS로 버티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ex) Stitch Data, FiveTran, Segment 등등 SaaS 프로그램들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다.

 

 

나중에 처리해야할 데이터가 많아지만, Airflow를 접목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후 아예 전부를 Airflow로 운영하게 된다.

 

 

데이턱 발생한다? -> 스타트업의 성장을 의미한다.

많은 경우 데이터 인프라가 필요하다는 점을 모름

데이터 분석가나 과학자가 먼저 고용됨

- 본연의 일보다는 데이터 수집/정제 등의 인프라적인 일을 하게 됨

- 아니면 프로덕션 데이터베이스를 데이터 웨어하우스처럼 사용하게 됨

 

 

 

스타트업에는 데이터 인프라가 우선이다.

아니면, ETL SaaS를 통해 데이터 인프라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도 좋은 대안이다.

 

 

 

B2C 스타트업의 성장: 마케팅이 중요해진다.

- 잠재고객들에게 서비스 존재를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 요즘 마케팅은 모두 디지털 마케팅이기에 광고 효과 분석을 데이터 기반으로 수행한다.

(마케팅 채널 기여도 분석!)

- 디지털 마케팅을 발전시키고 싶으면, 데이터 인프라와 데이터 분석이 아주 중요해짐

(이는 회사의 핵심조직이 되어야 함)

반응형

+ Recent posts